율촌역 열차 탈선 사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율촌역 열차 탈선 사고는 2016년 4월 22일 오전 3시 41분경, 용산역에서 여수엑스포역으로 운행하던 무궁화호 열차가 율촌역 인근에서 탈선하여 발생한 사고이다. 이 사고로 기관사 1명이 사망하고 승객 8명이 중경상을 입었으며, 전라선 순천역~여수엑스포역 구간의 열차 운행이 중단되었다. 사고 원인은 과속으로 밝혀졌으나, 관제사의 지시와 부기관사의 증언이 엇갈려 정확한 원인 규명이 필요한 상황이다. 사고 이후 전라선 운행이 중단되었고, 전세버스 연계 수송과 KTX, ITX-새마을 열차의 임시 운행 조정이 이루어졌다. 사고 열차 기관사는 과실치사 혐의로 입건될 예정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여수시의 역사 - 돌산군
돌산군은 1896년부터 1914년까지 전라남도에 존재했던 군으로, 여러 섬을 통합하여 설치되었으나 일제강점기 군면 통폐합으로 폐지되어 여수군, 고흥군, 광양군에 편입되었으며 현재는 대부분 여수시에 속한다. - 여수시의 역사 - 여수 에이즈 사건
여수 에이즈 사건은 1998년에 발생한 사건으로, 에이즈에 감염된 구모가 박모와 결혼한 사건이며, 영화 '너는 내 운명'과 드라마 '나의 그녀 이야기'의 모티브가 되었고, 제천 에이즈 사건 이후 다시 주목받았다. - 2016년 철도 사고 - 2016년 호보컨 열차 충돌 사고
2016년 9월 29일 미국 뉴저지주 호보컨 역에서 발생한 열차 충돌 사고로 1명이 사망하고 최소 114명이 부상했으며, 기관사의 수면 무호흡증과 뉴저지 교통국의 안전 관리 시스템 결함 및 열차 자동 제어 시스템 미설치가 원인으로 지목되었다. - 2016년 철도 사고 - 2016년 에세카 열차 탈선 사고
2016년 에세카 열차 탈선 사고는 카메룬에서 발생한 열차 탈선으로, 제동 시스템 고장과 과적, 관리자들의 경고 무시로 인해 다수의 사상자가 발생했으며, 사고 후 안전 관리 시스템 및 책임에 대한 논란이 있었다. - 전라선 - 개운역
개운역은 전라선에 위치한 대한민국의 철도역으로, 1936년 학구역으로 개업하여 구만역을 거쳐 2000년 개운역으로 역명이 변경되었으나, 현재는 여객 및 화물 취급이 중지된 무배치간이역이다. - 전라선 - 옹정역
옹정역은 전라선에 위치한 철도역으로, 과거 여객 취급을 했으나 현재는 중지되었고, 전라선 복선 전철화로 역사가 신축되었으며, 남원역과 곡성역 사이에 위치하여 노선 상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남원시 주민들의 교통 편의에 기여한다.
율촌역 열차 탈선 사고 | |
---|---|
사고 개요 | |
제목 | 율촌역 열차 탈선 사고 |
날짜 | 2016년 4월 22일 |
시간 | 오전 3시 41분 |
위치 | 전라남도 여수시 율촌역 (율촌역 - 성산역 사이) |
노선 | 전라선 |
운영자 | 한국철도공사 |
사고 종류 | 탈선 |
원인 | 과속, 관제 지시 불이행 |
열차 정보 | |
열차 종류 | 무궁화호 |
열차 수 | 1 |
피해 상황 | |
승객 수 | 28 |
사망자 수 | 1 |
부상자 수 | 8 |
재산 피해 | 기관차 1량 대파 객차 5량 반파 |
2. 사고 경위
2016년 4월 22일 전라선 율촌역 인근에서 여수엑스포역으로 향하던 무궁화호 제1517호 열차가 탈선하여 전복된 사고이다.[2]
2. 1. 사고 발생
2016년 4월 21일 오후 10시 45분경, 용산역을 출발하여 여수엑스포역으로 향하던 무궁화호 제1517호 열차가 2016년 4월 22일 오전 3시 41분경 전라선 율촌역에서 성산역 방향으로 약 200m 떨어진 지점에서 탈선 후 전도되었다.[2] 이 사고로 기관사 1명이 사망하고, 승객 8명이 중상 또는 경상을 입었다. 또한, 사고 복구 작업과 전차선 구조물 파손으로 인해 전라선 순천역과 여수엑스포역 사이 구간의 열차 운행이 중단되었다.2. 2. 인명 피해
이 사고로 기관사 1명이 사망했고, 승객 8명이 중상 또는 경상을 입었다.2. 3. 사고 원인
조사 결과, 사고 열차는 제한 속도 50km/h인 곡선 구간을 127km/h로 과속하여 운행한 것으로 밝혀졌다. 사고 당시 순천역과 율촌역 사이 구간에서는 전차선 보수 작업으로 인해 하행선 운행이 중단되고 상행 선로만 사용 중이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기관사는 율촌역 진입 시 50km/h로 감속하라는 관제 지시를 따르지 않고 속도를 127km/h까지 높였으며, 이로 인해 열차가 탈선하고 율촌역을 200m 앞둔 지점에서 철로의 신호 기둥과 2차로 충돌했다.사고 열차는 본래 3시 23분 순천역을 출발하여 여천역에 3시 41분, 종착역인 여수엑스포역에 3시 52분 도착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감속과 선로 변경 등으로 인해 예정보다 6분 늦은 오전 3시 29분경 순천역을 출발했다. 출발 초기에는 규정 속도인 50km/h를 준수했으나, 지연된 도착 시간을 만회하기 위해 과속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그러나 이는 관제사의 주장이었으며, 생존한 부기관사는 조사를 통해 다른 가능성을 제시했다. 부기관사는 관제사가 율촌역이 아닌 덕양역에서 선로 변경을 지시했다고 증언했다. 이에 따라 정확한 사고 원인을 규명하기 위해서는 열차 운행 기록 분석이 필요하게 되었고, 코레일은 블랙박스 조사를 진행한다고 밝혔다.
한편, 사고 지점 인근 모텔의 존재로 인해 전라선 공사 당시 보상비를 줄이려고 선로가 비정상적으로 설계되었다는 주장도 제기되었으나, 이는 사실이 아닌 것으로 확인되었다.[3]
3. 사고 여파
이 사고의 여파로 전라선 순천역과 여수엑스포역 사이 구간의 열차 운행이 전면 중단되었으며, 해당 구간은 버스를 이용한 연계 수송이 이루어졌다. 사고 발생 다음 날 새벽 복구 작업이 완료되어 열차 운행이 재개되었다. 또한 사고를 낸 기관사에 대해서는 과실치사 혐의 적용이 검토되었다.[4]
3. 1. 열차 운행 중단 및 연계 수송
이 사고로 전라선 순천역과 여수엑스포역 사이를 운행하는 모든 열차의 운행이 중지되었다. 이로 인해 해당 구간은 전세버스를 이용한 연계 수송이 이루어졌다. 또한 KTX 열차는 순천역, 남원역, 전주역을, ITX-새마을 열차는 전주역을 임시 착발역으로 하여 운행했다. 사고 당일인 2016년 4월 22일 오후 10시경에 상행선이 복구되었고, 다음 날인 2016년 4월 23일 오전 12시 30분경에는 하행선도 복구되었다. 이에 따라 사고 당일 밤 용산역에서 출발한 일부 심야 열차는 정상적으로 통과할 수 있었다.[4]3. 2. 복구 작업
사고 당일인 2016년 4월 22일 오후 10시경 상행선 복구가 완료되었고, 다음 날인 2016년 4월 23일 오전 12시 30분경에는 하행선도 복구되었다. 이에 따라 사고 당일 밤 용산역에서 출발한 일부 심야 열차가 정상적으로 운행될 수 있었다.[4]3. 3. 법적 조치
당시 55세의 사고 열차 기관사 정아무개에게 과실치사 혐의를 적용해 입건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4]참조
[1]
뉴스
여수서 무궁화호 탈선…9명 사상, 순천-여수역 운행 중단(종합)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6-04-22
[2]
뉴스
(영상) '9명 사상' 전남 여수 무궁화호 탈선 사고 현장
https://news.naver.c[...]
YTN
2016-04-22
[3]
뉴스
철도공단 "'급커브 선로 사고 위험 높였다' 보도 사실무근"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6-04-22
[4]
뉴스
'9명 사상 책임'…탈선 열차 기관사 형사처벌 방침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6-04-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